본문 바로가기
‘전력+천연가스’ 공급 신개념 복합 설비 띄운다.

‘전력+천연가스’ 공급 신개념 복합 설비 띄운다.

미국 ABS선급으로부터 업계 최초로 전력과 천연가스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복합 에너지 공급 설비인 부유식 발전설비 액화천연가스 화물창관리시스템 (FSPP LNG CHS ·Floating Storage Power Plant LNG Cargo Handling System)에 대한 기본인증(AIP)을 획득했다고 26일 밝혔다.대우조선해양이 이번에 개발한 복합

국제 CSI 콘퍼런스 개최…과학수사 국내·외 전문가 모였다.

국제 CSI 콘퍼런스 개최…과학수사 국내·외 전문가 모였다.

경찰청은 22일부터 24일까지 국내외 과학수사분야 종사자와 연구원 등 약 1800여 명이 참여하는 ‘CSI KOREA 2020, 국제 CSI 콘퍼런스’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올해로 제6회를 맞이하는 이번 학술회의(콘퍼런스)는 ‘과학수사의 역할변화와 미래의 도전’이라는 주제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석 등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을 과학수사에 적용하는 방안

‘중국 수소연료전지전시회’ 수소연료전지팩과 주택·건물·발전용 수소연료전지 등 선보여

‘중국 수소연료전지전시회’ 수소연료전지팩과 주택·건물·발전용 수소연료전지 등 선보여

두산이 지난 19일부터 22일까지 중국 광둥성 포산(Foshan, 佛山)에서 열린 ‘중국 수소연료전지 엑스포 2020(CHFE 2020, China Hydrogen & Fuel Cell Expo)’에 참가했다고 23일 밝혔다.이번 전시회에는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DMI), 두산퓨얼셀, ㈜두산 퓨얼셀파워 3개 회사가 참가해 수소연료전지팩과 수소드론, 주택·건

현대글로비스-한국조선해양-현대미포조선, 수소운반선 시대 앞당긴다.

현대글로비스-한국조선해양-현대미포조선, 수소운반선 시대 앞당긴다.

현대글로비스가 국내 조선사와 협력해 대형 액화수소운반선 개발에 첫 발을 내디뎠다. 수소운반선을 국적 선사와 조선사가 공동 개발하는 사례는 이번이 처음으로, 글로벌 수소 해상운송 시장 선점을 위해 국내 해운, 조선사가 협력 시스템을 가동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글로벌 SCM 전문기업 현대글로비스는 한국조선해양, 현대미포조선과 공동 개발한 2만㎥ 급 상업용

대우조선해양, 세계 최초 `AI 열간가공 로봇` 개발

대우조선해양, 세계 최초 `AI 열간가공 로봇` 개발

대우조선해양이 전세계 조선업 최초로 열간가공(熱間加工) 작업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로봇 시스템을 적용한다.대우조선해양(대표이사 이성근)은 작업환경을 개선하면서 표준화된 빅 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저숙련자도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인공지능형 열간가공 로봇 ‘곡누리’를 개발,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고 20일 밝혔다.이번에 개발된 로봇 ‘곡누

LG화학, 배터리로 더 나은 미래 만든다.

LG화학, 배터리로 더 나은 미래 만든다.

LG화학이 10월 21일(수)부터 23일(금)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인터배터리(InterBattery) 2020'에 참가해 세계 최고의 배터리 기술력과 솔루션을 선보인다. '인터배터리(InterBattery)'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전지산업협회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 2차전지산업 전시회로, 올해 행사에는 국내외 198개 업체가 참가한

국내 원양어선에 ‘24시간 불법어업 감시’ 인공지능 시스템 첫 도입

국내 원양어선에 ‘24시간 불법어업 감시’ 인공지능 시스템 첫 도입

24시간 불법어업을 감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원양어선에 도입된다.해양수산부는 불법어업을 근절하고 수산자원에 대한 과학적 자료 수집을 위해 국내 최초로 원양어선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전자모니터링(EM : Electric Monitering)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19일 밝혔다.이는 선박 내·외부에 카메라를 설치해 조업상황을 자동으로 녹화

사물인터넷 기기 등 적합성평가 간소화…ICT 업체 수요 반영

사물인터넷 기기 등 적합성평가 간소화…ICT 업체 수요 반영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다양한 아이디어가 시장에서 꽃피울 수 있도록 정보통신기술(ICT) 업체의 적합성평가 부담을 완화하고 평가시간도 절약한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ICT 제품을 제조·판매하는 업체의 적합성평가 부담을 완화하고, 새로운 환경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 평가에 관한 고시’를 개정해 20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적합성평가

스마트 무인 주차시대… 로봇이 알아서 주차한다.

스마트 무인 주차시대… 로봇이 알아서 주차한다.

주차장 입구에 차량을 위치시키면 로봇이 알아서 주차해주는 서비스가 개발돼 시범운영된다.국토교통부는 ‘스마트 주차로봇서비스’가 19일 산업융합규제특례심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스마트 주차로봇서비스’는 주차장의 출입구에서 차량을 위치시키면 자동으로 자동차의 출고와 입고를 처리하는 무인주차시스템이다.지난해부터 부천시와 마로로봇테크 등이 협력해 개발하고 있으며 올

3세대 연료전지로 손꼽히는 SOFC…효율·수명 개선한 한국형 모델 개발

3세대 연료전지로 손꼽히는 SOFC…효율·수명 개선한 한국형 모델 개발

두산퓨얼셀이 ‘한국형 고효율 발전용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이하 SOFC)’ 개발에 나선다.SOFC 핵심부품인 셀과 스택을 국산화하고, 2024년부터 한국형 SOFC시스템을 국내에서 양산한다는 것이 핵심이다.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PEMFC)와 인산형 연료전지(PAFC)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두산퓨얼셀은 3세대 연료

LG화학, 세계 최초 생분해성 신소재 개발...기존 소재 대비 최대 20배

LG화학, 세계 최초 생분해성 신소재 개발...기존 소재 대비 최대 20배

LG화학이 세계 최초로 합성수지와 동등한 기계적 물성 구현이 가능한 생분해성 신소재 개발에 성공했다. 이와 관련, LG화학은 19일 독자기술 및 제조공법을 통해 기존 생분해성 소재의 유연성(신율,伸率) 및 투명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신소재를 자체 개발했다고 밝혔다. LG화학이 개발한 신소재는 옥수수 성분의 포도당 및 폐글리세롤을 활용한 바이오 함량 100%

방송통신기업 인수합병 심사, 행정부담 줄고 속도 빨라진다

방송통신기업 인수합병 심사, 행정부담 줄고 속도 빨라진다

정부는 미디어 생태계 발전을 위해 효율적인 방송통신기업 인수합병 심사를 지원하기로 부처 간 협력기반을 구축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 및 공정거래위원회는 14일 ‘디지털 미디어 생태계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이번 업무협약은 지난 6월 22일 발표한 ‘디지털 미디어 생태계 발전방안’의 후속 조치로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 맞

정부·지자체·에너지 업계와 손잡고 상용차 수소 인프라 구축

정부·지자체·에너지 업계와 손잡고 상용차 수소 인프라 구축

현대자동차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에너지 업계 등과 손잡고 상용차 수소 인프라 구축에 앞장선다.현대자동차는 15일(목) 수소 상용차 보급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정부 기관과 민간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상용차용 수소충전소 구축·운영 특수목적법인(SPC, Special Purposed Company) 설립 및 운영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정부서울청사(

타트업에 20억원 규모 연구비 지원해 스마트 건설기술 집중 육성

타트업에 20억원 규모 연구비 지원해 스마트 건설기술 집중 육성

현대엔지니어링은 스마트 건설기술을 선도하기 위해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전략의 일환으로 개최한 「스마트 건설기술 공모전」이 국내 중소기업, 대학(원)생 및 연구기관 등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밝혔다.이번 공모전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한 건축&주택 분야 스마트 건설기술」을 주제로 진행된 만큼 ▲AI/Big Data기술 ▲BIM ▲

2030년 세계시장 20% 선점, ‘인공지능 반도체’ 선도국가 도약

2030년 세계시장 20% 선점, ‘인공지능 반도체’ 선도국가 도약

정부가 오는 2030년 인공지능(AI) 반도체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20% 달성하고, 혁신기업 20개와 고급인재 3000명을 양성하는 등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의 세부계획을 발표했다.정부는 12일 경기 성남시 소재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에서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제1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인공지능 강국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