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주도 차세대 원자로 기술개발·실증·상용화 추진

정부, ‘차세대 원자로 민관협력 추진전략’ 발표

정부가 차세대 원자로 기술확보를 위해 민간이 주도하는 차세대 원자로 합작사업을 추진한다.


또 차세대 원자로 연구조합을 설립하고 규제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관련 기술개발과 상용화를 위해 전방위적 지원에 나선다.


▲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월 5일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제5회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SMR) 국회 포럼’에서 참석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는 27일 제11차 원자력진흥위원회를 열어 이같은 내용의 ‘차세대 원자로 민관협력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차세대 원자로 시장에서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연구개발을 통해 축적한 성과를 민간으로 확산하고, 민간 주도의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화를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차세대 원자로 분야에서 민-관 협력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전략을 확정했다.


먼저, 고온가스로, 용융염원자로, 소듐냉각고속로 등 노형별 민·관 합작 프로젝트를 통해 핵심 기술개발 및 실증·상용화 기반 마련까지 신속하게 추진해 나간다.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에 대해서는 사업 지연 없이 적기에 상용화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 협력, 민·관의 기술력과 공급망을 총결집할 계획이다.


아울러, 올해 민간이 참여하는 고온가스로 개발 프로젝트를 신규로 추진해 2027년까지 원자로 기본설계를 완료하고, 향후 민간 주도의 국내외 사업화를 지원한다.


이어서, 차세대 원자로 개발단계에 따라 공동개발, 기술이전, 사업화 지원 등 민간과 협력 방식을 다양화한다.


특히 용융염원자로 등 차세대 원자로의 조기 상용화를 위해 사업화 지원 전담기관을 설립하고, 올해 하반기에는 노형별 맞춤형 시장선점 전략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원자로 기술개발 및 혁신 전략을 발표할 계획이다.


또한, 시장수요에 맞는 기술개발을 위해 기술개발 초기부터 수요·공급 기업이 참여하는 협의회를 운영하고, 민간의 기술적·재무적 위험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마중물로 정부가 기술과 연구개발(R&D) 재원을 공급해 민간투자를 활성화한다.


더불어, 민간이 주도하는 원자력 혁신 생태계 강화를 위해 기술협력, 기술사업화, 규제 대응을 공동으로 추진하는 차세대 원자로 연구조합 설립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향후 차세대 원자로 상용화를 위해서는 장기·고비용이 소요되는 인허가가 관건이기 때문에, 관계기관의 규제 협력 네트워크 운영을 통해 선제적으로 국내 규제체계를 개발할 계획이다


해외 선진국 및 국제기구의 기술 인정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양방향(two-track) 전략을 병행해 적기에 인허가를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차세대 원자력에 대한 핵심인력 필요성에 따라 올해부터 전문인력 양성센터를 설립해 원자력 융복합 전공과목을 개설하고 산·학·연 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경주 감포에 설립 중인 문무대왕과학연구소를 거점으로 교육과 연구를 병행하는 글로벌 원자력 공동캠퍼스 설립도 추진한다.


이 밖에도, 국내 우수한 대형 연구시설 및 시험부지를 활용해 국내외 연구소 및 기업 간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SMART나 고온가스로 등 국내 독자 노형의 시장 진출을 추진하여 수출 성공모델을 창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경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현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