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공업·서비스업 증가…“소비, 재난지원금·개소세 등 정책효과 감소 영향”
지난달 국내 산업생산은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소비와 투자는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020년 7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 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은 광공업과 서비스업 등의 생산이 늘어 전월보다 0.1% 증가하며, 2개월 연속 증가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1.6% 감소했다.
소매판매는 승용차, 의복, 의약품 등의 판매가 줄어 전월대비 6.0%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투자가 줄어 전월대비 2.2% 감소했고, 건설기성은 토목공사 실적이 늘어서 전월대비 1.5% 증가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각각 0.2p와 0.4p 상승했다.
생산부문을 보면 광공업생산이 1.6%, 서비스업생산도 0.3% 늘면서 증가세가 이어졌다. 수출 증가로 인해 자동차 생산이 14.4% 증가한 것이 광공업 생산 증가의 주요인으로 작용했고, 서비스업은 도소매 등에서 감소했으나 금융·보험·정보통신 생산이 전월보다 2.2% 증가, 전체 생산 증가에 기여했다.
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0.2% 증가했고 전년동월대비로는 0.1% 증가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전월대비 1.8%p 상승한 70.0%다.
안형준 심의관은 “생산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보면 제조업생산이 4~5월에 해외 코로나19 확산으로 하락한 후 6월에 수출이 개선되면서 큰 폭으로 증가했던 바가 있고, 7월에도 자동차 등 수출이 증가해서 1.8%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비스업생산은 국내 코로나19가 확산되었던 2월과 3월에 크게 위축되다가 코로나19가 어느 정도 통제가 되면서 4월부터 반등했었는데 그 흐름이 7월에도 이어갔다. 다만 도소매가 감소하면서 상승폭은 0.3% 증가에 그쳤다”고 덧붙였다.
소비와 관련해서 소매판매는 승용차 등 내구재, 의복 등 준내구재, 의약품 등 비내구재 판매가 모두 줄어 전월대비 6.0% 감소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0.5% 증가했다.
소매업태별 판매는 전년동월대비 전문소매점, 면세점 등은 줄었으나 무점포소매, 편의점 등은 증가했다.
안 심의관은 “지출과 관련해서 소매판매의 경우 2~3월에 크게 위축되었다가 재난지원금이나 자동차개소세 인하 등 정책효과로 크게 반등, 지난 6월에는 전년동월비가 6.3%로서 전년 수준을 회복했던 바가 있다”며 “다만 7월에는 개소세 인하폭이 축소되는 등 정책효과가 감소하고 유례없이 긴 장마의 영향으로 냉방가전 등에 대한 소비가 감소하면서 전월비 6.0% 크게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다만 동월비는 여전히 0.5% 증가세를 보여서 전체적으로 코로나19 수준은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설비투자는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 투자는 증가했으나 자동차 등 운송장비 투자가 줄어 전월대비 2.2% 감소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6.7% 증가했다.
국내기계수주는 전기업 등 공공에서 감소했으나 전자부품, 컴퓨터·영상음향통신 등 민간에서 늘어 전년동월대비 2.3% 증가했다.
건설기성은 건축은 보합이나, 토목공사 실적이 늘어 전월대비 1.5% 증가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0.6% 감소했다.
건설수주는 주택, 공장·창고 등 건축 및 기계설치 등 토목에서 모두 늘어 전년동월대비 81.5% 증가했다.
현재의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수입액, 건설기성액이 감소했으나 서비스업생산지수, 비농림어업취업자수 등이 증가, 전월대비 0.2p 상승했다.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해 주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수출입물가비율, 기계류내수출하지수가 감소했으나, 경제심리지수, 코스피 등이 증가해 전월대비 0.4p 상승했다.
안 심의관은 “동행순환변동치가 0.2p 전월대비 상승했고, 선행순환변동치도 0.4p 전월대비 상승해서 2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이달에 발표한 경기동행지수는 7월분으로 8월 중순 코로나19 재확산 등 경제외적 충격이 이번 지수에는 반영되지 못한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경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강희준 기자 다른기사보기